내용 소개
목차
머리말
투명한 유토피아 속에서 모래성 쌓기
_ 접촉에 대하여
어느 시골 학교 교장의 ‘시간’ 교육론
_ 시간, 자유, 관계, 인성
모든 아이들을 위한 학교, 가능하다
_ 잠시 멈춘 세상에서 맞이한 ‘철학의 순간’
상상하고 실천하자, 인간 본성 그 너머를
_ ‘고결한 야만인’이라는 존재
깨지 못한 신화, 시험을 다시 들여다본다
_ ‘터널 시야’에서 벗어나기
당당한 무학력자들을 능력주의 사회로 보내며
_ ‘고등정신기능의 기원’을 생각한다
내 정서의 살점을 꼬집는 코르차크의 ‘아이들’
_ “살아 있다는 게 너무 행복해”라는 말
세계 대안교육의 산 역사, 서머힐 100주년
_ 무엇을 가장 적극적으로 ‘안’ 할 것인가
자기 인생을 직접 운전하며 배워라
_ 운영지능과 인성 교육(?)
다시 맞는 4·16, 교육의 책임을 되묻다
_ 구조적 부정의에 맞서는 ‘사회적 연결 모델’
걷기, 가장 자연 상태에 가까운 인간의 행위
_ 걸으니 비로소 보이는 것들
찬솔이가 들고 온 ‘죄와 벌’
_ 기다림에 대하여
듀이의 ‘행함’, 우리의 ‘움직임’
_ 프로젝트 학습의 진짜 모습
‘대안’학교 제 이름 되찾기
_ 먼저 온 미래, 보편 공교육이 ‘대안’에게 진 빚
‘예술을 품은 교육’으로 판을 바꾸자
_ 통합 수업의 핵심은 ‘연결’이다
‘좋은 삶’으로 이끄는 노동은 불가능할까?
_ 2020년대 MZ세대의 ‘농활’
세계 안에서의 ‘견딤’이 민주 시민을 만든다
_ 개인의 욕망과 사회의 성숙함 사이
“안 하는 편을 선택하겠습니다”
_ ‘역량’이라는 용어에 휘둘리지 않기
대안교육 실천가 페스탈로치를 회상하며
_ 가르치기 힘든 것을 가르치기, 그 담대함에 대하여
“마을의 운명도 사람의 성격이 된다”
_ 망, 공간 그리고 새로운 교육
‘접촉의 기억’으로 내 곁에 살아 계신 스승들
_ 교육은 만남에 ‘이름표 붙이는’ 행동
볍씨학교야, 새로 움을 틔우렴
_ ‘학교를 학교라 부르지 못하는’ 초현실주의 너머에서
미술관에서 떠올린 ‘교敎’통사고
_ “아름다워. 그니까, 네가 와서 봐!”
존경스럽고 매력적인 인물, 철수세미
_ 전 존재를 거는, 교사의 자세에 대하여
식당털이 사건으로 바라본 집단의 특성
_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학부모라는 이름의 ‘불안’
_ 아찔한 현기증 속에서 양육의 자유를 누리자
교사의 소진과 ‘애정 철회’ 현상
_ 그 순간 가르침은 멈추고, 학교는 위기를 맞는다
삶을 위해 복무하는 배움의 즐거움
_ ‘기초교육’이라는 맛없는 차림표는 이제 그만
정서교육을 위해 ‘마음 열 결심’
_ ‘상처 입기 쉬움’과 공적인 삶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지은이
이병곤
제천간디학교 교장.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했다. 성공회대학교 대우교수, 광명시평생학습원 원장으로 일한 적이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건신대학원대학교 대안교육학과에서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교육철학, 미적 체험과 인격 형성 사이의 관계,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미래사회의 교육, 교육 불평등을 보정하기 위한 정책 수립 등에 관심을 두고 현장과 이론을 넘나들며 실천하고 있다.
《위기의 학교》 《넘나들며 배우기》를 우리말로 옮겼으며,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을 다른 저자들과 함께 집필했다. <비인가 대안학교 학생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 등 다양한 교육정책 연구 프로젝트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해왔다.
눈으로 보는 책
편집자 리뷰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