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소개
5월의 광주를 지켜보던 시인들이 뭉쳐 1981년 첫 출간을 한 동인지 〈5월시〉. 1986년에 출간된 이 판화시집은 〈5월시〉 동인 10인의 시에 판화가 홍선웅, 김경주, 김봉준, 박진화, 이철수, 홍성담, 전진석, 유연복, 지호상, 이준석의 판화를 더한 〈5월시〉의 7번째 책이다.
목차
책머리에
해방기를 맞이하여/동인 일동
⦁최두석
성에꽃
반구정에서
서호빈
지리산 찔레꽃
고슴도치
⦁이영진
9시 저녁뉴스 앞에서
전공 정상길의 일기•1
전공 정상길의 일기•2
전공 정상길의 일기•3
무덤은 큰 입이다
⦁윤재철
흙
맹회의 죽음
허수아비
바람잡는 세상
풀잎, 27세의 정직한 시각
⦁박주관
죽음이며 부활이다 1
죽음이며 부활이다 2
죽음이며 부활이다 3
죽음이며 부활이다 4
죽음이며 부활이다 5
⦁박몽구
어떤 옥중 결혼
도너츠타령
마르코스의 홍두깨
겨울 남산행
친구여 네가 떠나고
⦁나해철
감
오색단풍
향아
독립군을 찾으며
곤충의 잠
⦁나종영
등꽃
뜬구름 속에도
눈
부끄러운 잠
화해에 대하여
⦁김진경
대구에 가서
상가에서
고척동
피리
철길
아이들에게
⦁곽재구
강남터미널
성산포
저물 무렵
고추잠자리
서울 갔다가
⦁고광헌
한번 숨쉬고 두번 반성하지 않으면
山竹 2
山竹 3
꽃
아침, 집을 나서며
지은이
박주관
전라남도 광주 출생. 1973년 광주일고를 졸업하고 1973년 『풀과별』에 「젖어서 사는 의미」 등이 추천되어 등단했다. 동국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무등일보》와 《광주매일》, 《광남일보》 등의 기자를 역임했다. 대표작으로는 〈바다의 속〉 〈바다Ⅰ〉, 〈바다Ⅱ〉, 〈남도 육자배기〉, 〈일기 5편〉, 〈포도원 이미지〉 등이다.- 최근작 :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다시는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 … 총 8종
고광헌
대학에서 체육을 공부한 고광헌은 1984년 시 전문 무크지 <詩人>과 <광주일보> 신춘문예로 문단에 나왔다. 이듬해인 1985년 오월시 동인집 <5월>에 신중산층교실에서 등을 발표하면서 동인에 합류했다. 시집으로 <신중산층교실에서>(청하), <시간은 무겁다>(창비)가 있으며 평론집 <스포츠와 정치> 등을 펴냈다.
- 최근작 :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그리움이 끝나면 다시 길 떠날 수 있을까> … 총 8종
윤재철
1953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초·중·고 시절을 대전에서 보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1981년 ‘오월시’ 동인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아메리카 들소> <그래 우리가 만난다면> <생은 아름다울지라도> <세상에 새로 온 꽃> <능소화> <거꾸로 가자> <썩은 시> 등과, 산문집으로 <오래된 집> 등이 있다. 신동엽문학상(1996)과 오장환문학상(2013)을 받았다.
- 수상 : 2013년 오장환문학상, 1996년 신동엽문학상
- 최근작 : <그 모퉁이 자작나무>,<우리말 땅이름 3>,<우리말 땅이름 2> … 총 21종
곽재구

- 수상 : 1996년 동서문학상, 1992년 신동엽문학상
- 최근작 : <매일, 시 한 잔 : 두 번째>,<꽃으로 엮은 방패>,<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 … 총 80종
나종영
1954년 전남 광주에서 출생, 광주고·전남대 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81년 창작과비평사 13인 신작시집 <우리들의 그리움은>에 「광탄 가는 길에」 「겨울행」 「지신밟기」 등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5월시'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 최근작 : <광주, 뜨거운 부활의 도시>,<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 … 총 15종
최두석
1955년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 서울대 국어교육과와 동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80년 ≪심상≫에 <김통정> 등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으로 ≪대꽃≫ ≪임진강≫ ≪성에꽃≫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필 때≫ ≪꽃에게 길을 묻는다≫ ≪투구꽃≫ ≪숨살이꽃≫이, 평론집으로 ≪리얼리즘의 시정신≫ ≪시와 리얼리즘≫ 등이 있다. 현재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 수상 : 2010년 오장환문학상
- 최근작 :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다시는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 … 총 28종
박몽구
1977년 월간 《대화》로 등단.
전남대, 한양대 대학원 국문과 졸업.
시집 『개리 카를 들으며』, 『마음의 귀』,
『봉긋하게 부푼 빵』, 『수종사 무료찻집』,
연구서 『한국 현대시와 욕망의 시학』 펴냄.
계간 《시와문화》 주간.
한양대, 순천향대 출강.
- 최근작 : <단단한 허공>,<시와 문화 2020.여름>,<광주, 뜨거운 부활의 도시> … 총 30종
김진경

- 최근작 :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다시는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 … 총 98종
나해철
1956년 전남 나주 영산포 출생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영산포 1,2>라는 시로 당선되어 등단
시집; <무등에 올라>, <동해일기>, <그대를 부르는 순간만 꽃이 되는>, <아름다운 손>, <긴 사랑>, <꽃길 삼만리>, <위로> 등이 있음.5월시 동인, 한국 작가회의 이사 역임.
- 최근작 :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다시는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 … 총 17종
이영진
1956년 전남 장성에서 태어났다. 1976년 《한국문학》에 「법성포」 등을 발표,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1년 ‘오월시(五月詩)’ 동인을 결성했다. 1986년부터 2년간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사무국장을 지냈으며, 《전남매일》 발행인, 민족문학작가회의 문화정책위원장을 역임했다. 2003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문화관광부 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 단장을 지냈다. 시집 『6.25와 참외씨』 『숲은 어린 짐승들을 기른다』 『아파트 사이로 수평선을 본다』가 있다.
- 최근작 :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빼앗길 수 없는 노래>,<다시는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 … 총 33종
눈으로 보는 책